강요배

KANG Yo-bae


‘그림’을 그리는 일은 아직은 모호한 어떤 마음을 낚는 일인지 모른다. 이 낚음질에는 먼저 평정한 상태와 미끼가 필수적이다. 미끼란 외부 사물 생각거리 등 이른바 소재들이다. 미끼는 목표물이 아니다. 그것을 다루는 방식, 낚아 올리는 방식, 요리해 내는 방식을 통하여 마음은 드러날 것이다.

 

 

 

강요배
1952년생, 제주 출생

학력사항
1982    서울대학교 회화과 석사, 서울, 한국
1979    서울대학교 회화과 학사, 서울, 한국

주요 개인전
2016    시간 속을 부는 바람,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한국
2015    소리 – 이중섭 미술상 수상기념전, 조선일보미술관, 서울, 한국
2014    강요배 소묘: 1985-2014, 학고재갤러리, 서울, 한국
2013    강요배, 학고재갤러리, 서울, 한국
2008    스침, 학고재갤러리, 서울, 한국
2006    땅에 스민 시간, 학고재갤러리, 서울, 한국
2003    강요배, 학고재갤러리, 서울, 한국
1998    4.3 50주년 기념 동백꽃 지다 순회전, 학고재갤러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송원갤러리, 광주; 가톨릭센터 전시실, 부산; 월성 문화관, 대구, 한국
1994    제주의 자연, 학고재갤러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한국
1992    제주 민중항쟁사, 학고재갤러리, 서울; 세종갤러리, 제주; 단공갤러리, 대구, 한국

주요 단체전
2015    아시아 사회현실주의 1. 무망도, 학고재 상하이, 상하이, 중국
2014    제10회 광주비엔날레 – 달콤한 이슬, 광주시립미술관, 광주
2011    코리안 랩소디: 역사와 기억의 몽타주,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
2010    한국 드로잉30년: 1970-2000, 소마미술관, 서울
2004    선언 – 평화를 위한 세계 100인 미술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03    진경(眞景) – 그 새로운 제안,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01    생명으로의 초대, 학고재갤러리, 서울
1996    전통과 현실의 작가 17인, 학고재갤러리, 서울
1996    제8회 조국의 산하 – 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1992    90년대 우리미술의 단면, 가람화랑; 갤러리 상문당; 학고재갤러리; 현 갤러리, 서울

KOREA TOMORROW 2017

Artists 더보기